김성곤 (1949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김성곤(1949년)은 대한민국의 영문학자, 문학 평론가, 번역가이며, 서울대학교 명예교수이다. 뉴욕 주립 대학교에서 영문학 박사 학위를, 컬럼비아 대학교에서 비교 문학 박사 과정을 수료했다. 포스트모더니즘과 문화연구를 국내에 소개하고 탈식민주의 연구에 기여했으며, 한국문학번역원장, 서울대학교 출판문화원장 등을 역임했다. 또한, 김환태평론문학상, 우호인문학상 등을 수상하고, 다양한 문학 작품을 번역하는 등 활발한 활동을 펼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뉴욕 주립 대학교 버펄로 동문 - 리처드 호프스태터
리처드 호프스태터는 20세기 미국의 역사학자로서, 미국 사회의 다양한 현상을 분석하고 사회심리학적 개념을 활용하여 정치사를 설명했으며, 퓰리처상을 두 차례 수상했다. - 뉴욕 주립 대학교 버펄로 동문 - 김상률
김상률은 숙명여자대학교 교수와 대통령비서실 교육문화수석비서관을 역임했으며, 한양대학교 영어영문학과를 졸업하고 버펄로 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영어영문학 및 문화 연구 분야의 저서를 출간했다. - 대한민국의 문학 평론가 - 진중권
대한민국의 미학자이자 작가, 평론가, 대학교수인 진중권은 서울대학교 미학과를 졸업하고 독일에서 철학 박사 과정을 밟았으며, 여러 대학에서 교수를 역임하며 미학, 예술, 정치, 사회에 대한 저술 및 번역 활동과 진보 정당 활동을 해왔다. - 대한민국의 문학 평론가 - 박노자
박노자는 러시아 태생으로 대한민국에 귀화한 한국학 연구자이자 사회운동가, 언론인이며, 오슬로 대학교 한국학 교수로 재직하면서 한국 사회와 역사에 대한 비판적인 시각을 담은 저술 및 강연 활동을 하는 진보적 지식인이다. - 컬럼비아 대학교 동문 - 염홍철
염홍철은 경남대학교 교수, 청와대 정무비서관, 대전광역시장 3선, 한국공항공단 이사장, 한밭대학교 총장 등을 역임한 대한민국의 정치인이자 교수, 시인이며, 대전시장 재임 시절 대덕연구단지 발전에 기여했으나 정책의 불균형성과 을지의과대학교 설립 청탁 관련 자금 수수 사건 등으로 비판을 받기도 했다. - 컬럼비아 대학교 동문 - 버락 오바마
버락 후세인 오바마는 미국 최초의 아프리카계 미국인 대통령으로, 시민 운동가 및 법률가, 일리노이 주 상원의원, 미국 상원의원을 거쳐 2008년과 2012년 대통령 선거에서 승리하여 2임기를 역임하며 의료보험 개혁법 추진, 이라크 전쟁 종식, 오사마 빈 라덴 사살 작전 등의 업적을 남겼다.
김성곤 (1949년)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김성곤 |
본관 | 김해 김씨 |
출생일 | 1949년 8월 9일 |
국적 | 대한민국 |
직업 | 평론가 |
학력 | |
학사 | 서울대학교 영어영문학과 |
석사 | 서울대학교 대학원 영어영문학과 |
박사 | 뉴욕 주립대학교 버펄로 대학원 |
박사 | 컬럼비아 대학교 대학원 |
경력 | |
데뷔 | 1984년, 《솔 벨로 이후의 미국 소설》 |
주요 분야 | 문학평론, 영문학, 미국 문학, 문화연구 |
대외 활동 | 한국문학번역원 원장 |
기타 활동 | 서울대학교 영어영문학과 명예교수 대한민국예술원 회원 |
저서 | |
주요 저서 | 《문화연구와 휴머니즘의 미래》 《뉴미디어 시대의 문학》 《지구화 시대의 문학》 《혼성문화 시대의 문학》 |
수상 | |
수상 내역 | 제 22회 팔봉비평상 대한민국 학술원상 황조근정훈장 |
2. 생애 및 학력
김성곤은 레슬리 A. 피들러 교수의 지도하에 뉴욕 주립 대학교 버팔로에서 영문학 박사 학위를 받았고,[1] 에드워드 W. 사이드 교수의 지도하에 컬럼비아 대학교에서 비교 문학 박사 과정을 수료했다.[1] 1984년 서울대학교 교수로 임용되었다.[1]
2. 1. 생애
미국 컬럼비아 대학교에서 에드워드 W. 사이드 교수로부터 탈식민주의를 비롯한 현대문학이론을 배웠으며, 뉴욕주립대학교에서는 레슬리 A. 피들러 교수로부터 포스트모더니즘과 문화연구를 연구했다. 미국 펜실베이니아 주립대학교,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 브리검영 대학교에서 가르쳤으며, 하버드, 옥스퍼드, 토론토 대학에서 연구했다. 1970년대 후반, 국내 최초로 포스트모더니즘 논의를 시작해서 포스트모던 인식을 확산함으로써, 한국 문단과 학계에 많은 영향을 끼쳤다. 이후 탈식민주의와 문화연구 논의에도 선구자적 역할을 했으며, 영화를 통해 문화를 읽어내는 국내 최초의 저서인 [김성곤교수의 영화에세이](1993)을 출간해, "문화연구" 및 "문학과 영화" 분야 활성화의 단초를 제공했다.[1]문단에서는 [외국문학] 책임편집위원, [문학사상] 주간, [21세기 문학] 편집위원을 역임했으며, 학계에서는 국제비교한국학회장, 한국 아메리카학회장, 한국현대영미소설학회장, 초대 문학과 영상학회장, 전국대학출판부협회 회장을 지냈다. 서울대학교에서는 미국학연구소장, 어학연구소장, 서울대출판부장을 거쳐 초대 언어교육원장과 초대 출판문화원장을 역임했다. 2015년에는 한국문학평론가 협회가 뽑은 "근 현대 한국대표평론가 50인"에 선정되어, '지식을 위한 지식' 출판사에서 [김성곤 평론선집]이 출간되었으며, [한국연구재단 석학교수 인문강좌]와 [네이버 문화재단 문화의 "안과 밖" 고전강좌] 연사로 위촉되었다.[1]
2012년에는 문화체육관광부 기관장 평가에서 A를 받아, 우수기관장에 선정되었고, 이후 문체부 한류진흥자문위원회 위원장, 한중문화교류위원회 위원, 아시아문화포럼 위원장, 국가인재개발원 객원교수에 위촉되었으며, 2016년에는 한국문학번역원장으로서 문화체육관광부의 경영평가단이 선정해 수여하는 [문화융성 가치확산 분야--주요사업 부문 지표관리 우수기관] 축하패를 받았다. 2016-2017년 차관급 공공외교위원회의 위원으로 선정되었다.[1]
1960년대 초 소설의 죽음을 처음으로 발표한 레슬리 A. 피들러 교수의 지도하에 뉴욕 주립 대학교 버팔로에서 영어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그 후 컬럼비아 대학교로 가서 에드워드 W. 사이드 교수의 지도하에 비교 문학을 공부했으며, 사이드 교수는 "오리엔탈리즘"의 저자이다. 컬럼비아 대학교에서 박사 과정 수료 후, 1984년 서울대학교 교수로 임용되었다.[2]
2. 2. 학력
3. 학문 및 연구 활동
김성곤은 여러 학술 단체에서 주요 직책을 맡으며 학문 교류와 발전에 힘썼다. 1998년부터 2001년까지 한국 문학과 영상학회 초대 회장을, 2001년부터 2003년까지 국제 비교한국학회(IACKS) 회장을 역임했다. 2003년부터 2005년까지 한국 현대영미소설학회 회장, 2007년에는 한국 아메리카학회 회장을 지냈다. 2003년부터 2004년까지 한국 영어영문학회 초대 발전위원장을, 2010년부터 2011년까지는 한국 대학출판부협회 회장을 맡았다.[1]
서울대학교에서도 1999년부터 2001년까지 미국학연구소장, 2001년 어학연구소장을 역임했다. 2001년부터 2005년까지 초대 언어교육원장을 맡아 서울대학교 최우수기관 표창을 받았으며, 2009년부터 2011년까지 초대 출판문화원장과 출판부장을 겸임했다.[2]
국내외 문학 관련 기관에서는 2002년부터 2005년까지 ㈜문학사상사 주간을, 1988년부터 1998년까지 계간 「외국문학」 책임편집위원을, 1998년부터는 계간 [21세기문학] 편집위원을 맡았다. 2013년부터 2014년까지는 뉴욕주립대 한국 총동문회 회장을 지냈다.[1]
대산문화재단 서울국제문학포럼(SIFL) 집행위원장 및 부조직위원장(2000/2005/2011/2017), 문화부 한국문학 번역금고 이사(1996-1997), 문화부 [문학의 해] 및 [새로운 예술의 해] 실무위원(1998-2000), BESETO(Beijing, Seoul, Tokyo) 국제 컨퍼런스 조직위원장(1999-2001) 등을 역임하며 국제 학술 교류에도 기여했다.
1988년부터 1994년까지 외교통상부 외교안보연구원에서 외교관을 교육했고, 1997년부터는 외교통상부 국제협력단 외래교수로 외국인 공직자를 대상으로 교육했다. 2014년부터 2015년까지는 안전행정부 중앙공무원교육원 객원교수로 외국인 공무원 교육을 담당했다.
3. 1. 주요 경력
연도 | 경력 |
---|---|
1987년–1989년 | 서울대학교 기숙사 사감 (학생생활관 관장) |
1988년-1998년 | 계간 「외국문학」 책임편집위원 |
1988년–1994년 | 외교안보연구원에서 대한민국 외교관 교육 |
1997년–현재 | 한국국제협력단(KOICA)과 외교부 산하 중앙공무원교육원(COTI)에서 외국 외교관 대상 한국 문화와 사회 강연 |
1998년-2001년 | 한국 문학과 영상학회 초대 회장 |
1998년- | 계간 [21세기문학] 편집위원 |
1999년-2001년 | 서울대학교 미국학연구소장 |
1999년–2001년 | 연례 BESETO (베이징, 서울, 도쿄) 국제 학술대회 조직위원회 위원장 |
2000년, 2005년, 2011년 | 서울국제문학포럼 부의장 |
2001년 | 서울대학교 어학연구소장 |
2001년-2003년 | 국제 비교한국학회(IACKS) 회장 |
2001년-2005년 | 서울대학교 초대 언어교육원장 (서울대 최우수기관 표창) |
2002년-2005년 | ㈜ 문학사상사 주간 |
2003년-2005년 | 한국 현대영미소설학회 회장 |
2003년-2004년 | 한국 영어영문학회 초대 발전위원장 |
2007년-2007년 | 한국 아메리카학회 회장 |
2009년-2011년 | 서울대학교 초대 출판문화원장, 서울대학교출판부장 |
2010년-2011년 | 한국 대학출판부협회 회장 |
2012년–2017년 | 서울문학회 부회장 |
2013년-2014년 | 뉴욕주립대 한국 총동문회 회장 |
2015년-2016년 | 유네스코 한국위원회 발행 코리아 저널 공동 편집인 |
2016년 | 외교부 공공외교위원회 부위원장 |
colspan="2" | |
3. 2. 학회 활동
김성곤은 1998년부터 2001년까지 한국문학영화학회 초대 회장을 역임했고, 2001년부터 2003년까지 비교한국학회 회장, 2004년부터 2006년까지 한국현대영문학회 회장, 2007년부터 2008년까지 한국미국학회 회장을 역임했다. 2004년부터 2005년까지는 한국영어영문학회 발전 및 진흥 위원회 위원장을 맡았다.[1]3. 3. 해외 교류
김성곤은 뉴욕 주립 대학교 버팔로, 컬럼비아 대학교, 펜실베이니아 주립 대학교, 브리검 영 대학교,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 등에서 교수로 재직했다. 또한 하버드 대학교, 옥스퍼드 대학교, 토론토 대학교에서 객원 학자로 연구를 수행했다.[1]연도 | 대학교 | 국가 | 직책 | 비고 |
---|---|---|---|---|
1990-1991 | 펜실베이니아 주립 대학교 | United States of America|미국영어 | 객원 교수 (Visiting Professor) | 영문학 및 비교 문학 강의 |
1991 | 옥스퍼드 대학교 | United Kingdom|영국영어 | 객원 학자 (British Council Scholar) | |
1991 | 토론토 대학교 | Canada|캐나다영어 | 객원 학자 (Visiting Scholar) | |
1992 | 뉴욕 주립 대학교 버팔로 | United States of America|미국영어 | 록펠러 센터 펠로우 (Rockefeller Center Fellow) | |
1996-1997 | 브리검 영 대학교 | United States of America|미국영어 | 객원 교수 (KRF Visiting Professor) | 한국 문학 강의 |
2006 |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 | United States of America|미국영어 | 객원 교수 (Visiting Professor) | 아시아 문학 강의 |
2006-2007 | 하버드 대학교 | United States of America|미국영어 | 옌칭 연구소 부교수 (Yenching Institute Associate) | |
2011-2012 | 뉴욕 주립 대학교 버팔로 | United States of America|미국영어 | 객원 학자 (Visiting Scholar) | |
2018 | 조지 워싱턴 대학교 | United States of America|미국영어 | 학장 초빙 석좌교수 (Distinguished Visiting Professor) | |
2018-2019 | 말라가 대학교 | España|스페인es | 방문 교수 (Profesor Visitante) | |
2019 | 캘리포니아 대학교 어바인 | United States of America|미국영어 | 객원 교수 (Visiting Professor) | |
2020-2025 | 다트머스 대학교 | United States of America|미국영어 | 객원 학자 (Visiting Scholar) |
4. 문학 및 번역 활동
김성곤은 한국 문학과 영미권 문학을 서로 번역하고 소개하는 데 힘썼다. 한국 문학을 영어로 번역하여 외국에 알리고, 영미권 문학을 한국어로 번역하여 국내에 소개했다.
한국 문학 번역 (한국어 → 영어)
원제 | 영어 제목 | 번역자 | 출판사 | 출판 연도 |
---|---|---|---|---|
황동규 시집 미시령 큰바람 | Strong Winds at Mishi Pass | 김성곤, 데니스 말로니(Dennis Maloney) | White Pine Press (뉴욕) | 2005년 |
문정희 시집 양귀비꽃 머리에 꽂고 | Woman in Woman in the Terrace | 김성곤, 알렉 고든(Alec Gordon) | White Pine Press (뉴욕) | 2007년 |
최인훈 소설 광장 | The Square | 김성곤 | Dalkey Archive Press (어바나-샴페인) | 2014년 |
- 문정희 시인은 ''Woman in Woman in the Terrace'' 영역 시집으로 스웨덴 Cicada 상을 수상했다.
영미 문학 번역 (영어 → 한국어)
영어 제목 | 한국어 제목 | 저자 | 출판사 |
---|---|---|---|
The Crying of Lot 49영어 | 49호 경매 | 토마스 핀천 | 민음사 |
The Narrative of Arthur Gordon Pym of Nantucket영어 | 낸터킷의 아서 고든 핌의 이야기 | 에드거 앨런 포 | 골든 보우 |
Trout Fishing in America영어 | 아메리카에서 송어 낚시 | 리처드 브라우티건 | 비채 |
A Farewell to Arms영어 | 무기여 잘 있거라 | 어니스트 헤밍웨이 | 시공사 |
In Our Time영어 | 우리 시대에 | 어니스트 헤밍웨이 | 시공사 |
Waiting for the End영어 | 끝을 기다리며 | 레슬리 A. 피들러 | 삼성 |
Primitivism영어 | 원시주의 | 마이클 벨 |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
Love is a Fallacy: Collections of Postmodern Fiction영어 | 사랑은 허상: 포스트모던 소설 모음 | 호르헤 루이스 보르헤스 외 | 웅진 |
Selected Poems of Seamus Heaney영어 | 셰이머스 히니의 시선집 | 셰이머스 히니 | 열음사 |
Culture and Imperialism영어 | 문화와 제국주의 | 에드워드 사이드 | 한신 (공역) |
Postmodern Culture영어 | 포스트모던 문화 | 스티븐 코너 | 한신 (공역) |
American Literary Criticism영어 | 미국 문학 비평 | 빈센트 리치 | 한신 (공역) |
Mukarovsky’s Poetics영어 | 무카로프스키의 시학 | 무카로프스키 | 현대문학 (공역) |
김성곤은 다양한 학술 서적과 에세이를 저술했다. 주요 저서는 다음과 같다.
출판 연도 | 제목 | 출판사 | 비고 |
---|---|---|---|
1985 | 과거로의 여행(Journey into the Past) |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 Journey into the Past영어 |
1986 | 미로 속의 언어: 현대 미국작가와의 대화 | 민음사 | 오늘의 책 수상 |
1988 | Simple Etiquette in Korea | Paul Nobury | 이어령 공저, Simple Etiquette in Korea영어 |
1989 | 탈모더니즘시대의 미국문학 |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 |
1990 | 포스트모더니즘과 현대미국소설 | 열음사 | |
1991 | Korea Briefing | Associated University Press | 챕터 저술, Korea Briefing영어 |
1993 | 미국문학과 작가들의 초상 |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 문화체육관광부 우수도서 선정 |
1994 | 김성곤 교수의 영화에세이 | 열음사 | 워싱턴 대학교 교과서 채택 |
1995 | 뉴미디어 시대의 문학 | 민음사 | |
1996 | 미국현대문학 | 민음사 | 대우학술총서 선정 |
1996 | 헐리웃: 20세기 문화의 거울 | 웅진출판 | |
1996 | 문학과 영화 | 민음사 | |
1997 | Crosscurrents in the Literatures of Asia and the West | Associated UP | 챕터 저술, Crosscurrents in the Literatures of Asia and the West영어 |
2001 | 김성곤의 영화기행 | 효형출판 | |
2002 | 다문화시대의 한국인 | 열음사 | |
2003 | 퓨전시대의 새로운 문화 읽기 | 문학사상사 | |
2003 | 문화연구와 인문학의 미래 |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 문화체육관광부 우수도서 선정 |
2003 | 영화로 보는 미국 | 살림 | |
2003 | Postmodernism in Asia | 도쿄대학 | 챕터 저술, Postmodernism in Asia영어 |
2004 | 영화 속의 문화 |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 |
2005 | J. D. 샐린저와 호밀밭의 파수꾼 | 살림 | |
2005 | 에드가 앨런 포 | 살림 | |
2006 | 사유의 열쇠: 문학 | 산처럼 | |
2006 | 글로벌시대의 문학 | 민음사 | 문화체육관광부 우수도서 선정, 김환태 평론문학상 수상 |
2009 | 하이브리드시대의 문학 |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 2010 대한민국 학술원 우수도서 선정 |
2013 | 경계를 넘어서는 문학 | 민음사 | |
2014 | Intellectual History of Korea | Cuon Press | 챕터 저술, Intellectual History of Korea영어 |
2015 | 한국 근 현대 대표평론가 50인 선집 | 지식을만드는지식 | |
2016 | 미국문학으로 읽는 미국의 문화와 사회 | 동인 | |
2017 | 처음 만나는 영화 | 랜덤하우스 코리아 | [김성곤 교수의 영화에세이] 개정증보판 |
2017 | 문화로 읽는 세상, 문화로 보는 미래 | 문학사상사 | |
2017 | 문학의 명장면 | 에피퍼니 | |
2017 | 경계해체시대의 인문학 | 세창출판사 | 한국연구재단 석학강좌 |
2019 | 폭력과 정의 | 김영사 비채 | 안경환과 공저 |
2023 | 이어령 읽기, 인공지능 시대와 생명사상 시대의 문명, 문화, 문학 | 민음사 | |
2023 | 나의 학문, 나의 삶 | 서울대학교 명예교수협의회 |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공저 |
그는 또한 이상문학상, 김소월 시문학상, 김환태 평론문학상, 동아일보 신춘문예(평론), 조선일보/김영사 뉴웨이브 문학상, 동아 사이언스/과학기술부 주최 제1회 SF문학상, 문학사상 신인상, 문학정신 신인상, 한국문학번역원 영어권 자문위원, 대산문화재단 한국문학번역 심사위원장, 문화부 한국문학 번역금고 이사, 문화부 [새로운 예술의 해] 실무위원, 한국문화예술진흥원 한국문학해외홍보위원, 한국문화예술진흥원 대한민국번역대상 심사위원장, 미국 뉴욕 White Pine Press 한국문학 자문위원, 미국 뉴욕 문학저널 Muae 해외자문위원, 뉴웨이브문학상 심사위원장(조선일보/김영사 주최), 우호인문상 심사위원장/우호문화재단 운영위원, 박경리문학상, 심훈문학대상, 세계일보 세계문학상 등 다양한 문학상의 심사위원을 역임했다.
4. 1. 문학 평론
김성곤은 1970년대 후반과 1980년대 초 한국에서 처음으로 포스트모더니즘 논쟁을 시작한 문학 평론가이다.[2] 그는 탈식민주의와 문화 연구의 선구자로도 평가받는다. 그의 포스트모더니즘, 탈식민주의, 문화 연구 관련 저서는 한국 문단의 작가와 학자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2] 2008년에는 김환태 평론문학상을 수상했다.
2015년에는 한국문학평론가협회에서 "1900년 이후 한국을 대표하는 문학 평론가 50인" 중 한 명으로 선정되었다.[1]
김성곤은 다음과 같은 문학 평론집 및 저서를 출간했다.
제목 | 출판사 | 출판 연도 |
---|---|---|
탈구조주의의 이해 | 민음사 | |
21세기 문예이론 | 문학사상사 | |
21세기 문화키워드 | 한국출판문화연구소 | |
소설의 죽음과 포스트모더니즘 | 앳틱 출판사 | |
21세기 문화 키워드 100 | 한국출판마케팅연구소 | |
21세기 문학 운동 | 문학과사상사 |
4. 2. 번역
김성곤은 한국 문학과 영미권 문학을 서로 번역하는 데 힘썼다. 한국 문학을 영어로 번역해 외국에 알리고, 영미권 문학을 한국어로 번역해 국내에 소개했다.4. 2. 1. 영문학 번역
'''영한 번역'''- Strong Winds at Mishi Pass|스트롱 윈즈 앳 미시 패스|영어 황동규 시집, 김성곤, 데니스 맬로니 공역. 뉴욕: White Pine Press, 2003.
- Woman on the Terrace|워먼 온 더 테라스|영어 문정희 시집, 김성곤, 알렉 고든 공역. 뉴욕: White Pine Press, 2007.
이 작품집으로 시인 문정희는 스웨덴의 시카다 상을 수상했다.
- The Square|더 스퀘어|영어. 최인훈 소설. 김성곤 역. 어바나-샴페인: Dalkey Archive Press, 2014.
'''한영 번역'''
- The Crying of Lot 49|더 크라잉 오브 랏 49|영어. 토머스 핀천. 서울: 민음사.
- The Narrative of Arthur Gordon Pym of Nantucket|더 내러티브 오브 아서 고든 핌 오브 낸터킷|영어. 에드거 앨런 포. 골든 보우.
- Trout Fishing in America|트라우트 피싱 인 아메리카|영어. 리처드 브라우티건. 비채.
- A Farewell to Arms|어 페어웰 투 암즈|영어. 어니스트 헤밍웨이. 시공사.
- In Our Time|인 아워 타임|영어. 어니스트 헤밍웨이. 시공사.
- Waiting for the End|웨이팅 포 더 엔드|영어. 레슬리 A. 피들러. 삼성.
- Primitivism|프리미티비즘|영어. 마이클 벨.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 Love is a Fallacy: Collections of Postmodern Fiction|러브 이즈 어 팰러시: 컬렉션즈 오브 포스트모던 픽션|영어. 보르헤스 외. 웅진.
- Selected Poems of Seamus Heaney|셀렉티드 포엠즈 오브 셰이머스 히니|영어. 셰이머스 히니. 열음사.
- Culture and Imperialism|컬처 앤드 임페리얼리즘|영어. 에드워드 사이드. 공역. 한신.
- Postmodern Culture|포스트모던 컬처|영어. 스티븐 코너. 공역. 한신.
- American Literary Criticism|아메리칸 리터러리 크리티시즘|영어. 빈센트 리치. 공역. 한신.
- Mukarovsky’s Poetics|무카로프스키즈 포에틱스|영어. 무카로프스키. 공역. 현대문학.
4. 2. 2. 한국 문학 번역
김성곤은 한국 문학을 영어로 번역하고, 영미권 문학을 한국어로 번역하는 작업을 활발히 수행했다.한국 문학 번역 (한국어 → 영어)
원제 | 영어 제목 | 번역자 | 출판사 | 출판년도 |
---|---|---|---|---|
황동규 시집 미시령 큰바람 | Strong Winds at Mishi Pass | 김성곤, 데니스 말로니(Dennis Maloney) | White Pine Press (뉴욕) | 2005년 |
문정희 시집 양귀비꽃 머리에 꽂고 | Woman in Woman in the Terrace | 김성곤, 알렉 고든(Alec Gordon) | White Pine Press (뉴욕) | 2007년 |
최인훈 소설 광장 | The Square | 김성곤 | Dalkey Archive Press (어바나-샴페인) | 2014년 |
- 문정희 시인은 ''Woman in Woman in the Terrace'' 영역 시집으로 스웨덴 Cicada 상을 수상했다.
영미 문학 번역 (영어 → 한국어)
영어 제목 | 한국어 제목 | 저자 | 출판사 |
---|---|---|---|
The Crying of Lot 49영어 | 49호의 경매 | 토마스 핀천 | 민음사 |
The Narrative of Arthur Gordon Pym of Nantucket영어 | 낸터킷의 아서 고든 핌의 이야기 | 에드거 앨런 포 | 골든 보우 |
Trout Fishing in America영어 | 아메리카에서 송어 낚시 | 리처드 브라우티건 | 비채 |
A Farewell to Arms영어 | 무기여 잘 있거라 | 어니스트 헤밍웨이 | 시공사 |
In Our Time영어 | 우리 시대에 | 어니스트 헤밍웨이 | 시공사 |
Waiting for the End영어 | 끝을 기다리며 | 레슬리 A. 피들러 | 삼성 |
Primitivism영어 | 원시주의 | 마이클 벨 |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
Love is a Fallacy: Collections of Postmodern Fiction영어 | 사랑은 허상: 포스트모던 소설 모음 | 호르헤 루이스 보르헤스 외 | 웅진 |
Selected Poems of Seamus Heaney영어 | 셰이머스 히니의 시선집 | 셰이머스 히니 | 열음사 |
Culture and Imperialism영어 | 문화와 제국주의 | 에드워드 사이드 | 한신 (공역) |
Postmodern Culture영어 | 포스트모던 문화 | 스티븐 코너 | 한신 (공역) |
American Literary Criticism영어 | 미국 문학 비평 | 빈센트 리치 | 한신 (공역) |
Mukarovsky’s Poetics영어 | 무카로프스키의 시학 | 무카로프스키 | 현대문학 (공역) |
4. 3. 저술 활동
김성곤은 다양한 학술 서적과 에세이를 저술했다. 주요 저서는 다음과 같다.출판 연도 | 제목 | 출판사 | 비고 |
---|---|---|---|
1985 | 과거로의 여행(Journey into the Past) |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 Journey into the Past영어 |
1986 | 미로 속의 언어: 현대 미국작가와의 대화 | 민음사 | 오늘의 책 수상 |
1988 | Simple Etiquette in Korea | Paul Nobury | 이어령 공저, Simple Etiquette in Korea영어 |
1989 | 탈모더니즘시대의 미국문학 |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 |
1990 | 포스트모더니즘과 현대미국소설 | 열음사 | |
1991 | Korea Briefing | Associated University Press | 챕터 저술, Korea Briefing영어 |
1993 | 미국문학과 작가들의 초상 |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 문화체육관광부 우수도서 선정 |
1994 | 김성곤 교수의 영화에세이 | 열음사 | 워싱턴 대학교 교과서 채택 |
1995 | 뉴미디어 시대의 문학 | 민음사 | |
1996 | 미국현대문학 | 민음사 | 대우학술총서 선정 |
1996 | 헐리웃: 20세기 문화의 거울 | 웅진출판 | |
1996 | 문학과 영화 | 민음사 | |
1997 | Crosscurrents in the Literatures of Asia and the West | Associated UP | 챕터 저술, Crosscurrents in the Literatures of Asia and the West영어 |
2001 | 김성곤의 영화기행 | 효형출판 | |
2002 | 다문화시대의 한국인 | 열음사 | |
2003 | 퓨전시대의 새로운 문화 읽기 | 문학사상사 | |
2003 | 문화연구와 인문학의 미래 |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 문화체육관광부 우수도서 선정 |
2003 | 영화로 보는 미국 | 살림 | |
2003 | Postmodernism in Asia | 도쿄대학 | 챕터 저술, Postmodernism in Asia영어 |
2004 | 영화 속의 문화 |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 |
2005 | J. D. 샐린저와 호밀밭의 파수꾼 | 살림 | |
2005 | 에드가 앨런 포 | 살림 | |
2006 | 사유의 열쇠: 문학 | 산처럼 | |
2006 | 글로벌시대의 문학 | 민음사 | 문화체육관광부 우수도서 선정, 김환태 평론문학상 수상 |
2009 | 하이브리드시대의 문학 |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 2010 대한민국 학술원 우수도서 선정 |
2013 | 경계를 넘어서는 문학 | 민음사 | |
2014 | Intellectual History of Korea | Cuon Press | 챕터 저술, Intellectual History of Korea영어 |
2015 | 한국 근 현대 대표평론가 50인 선집 | 지식을만드는지식 | |
2016 | 미국문학으로 읽는 미국의 문화와 사회 | 동인 | |
2017 | 처음 만나는 영화 | 랜덤하우스 코리아 | [김성곤 교수의 영화에세이] 개정증보판 |
2017 | 문화로 읽는 세상, 문화로 보는 미래 | 문학사상사 | |
2017 | 문학의 명장면 | 에피퍼니 | |
2017 | 경계해체시대의 인문학 | 세창출판사 | 한국연구재단 석학강좌 |
2019 | 폭력과 정의 | 김영사 비채 | 안경환과 공저 |
2023 | 이어령 읽기, 인공지능 시대와 생명사상 시대의 문명, 문화, 문학 | 민음사 | |
2023 | 나의 학문, 나의 삶 | 서울대학교 명예교수협의회 |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공저 |
5. 사회 활동 및 기타 경력
김성곤은 미국 컬럼비아 대학교와 뉴욕주립대학교에서 현대문학이론과 문화연구를 연구했다. 펜실베이니아 주립대학교,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 브리검영 대학교에서 가르쳤으며, 하버드 대학교, 옥스퍼드 대학교, 토론토 대학교에서 연구했다. 1970년대 후반 국내 최초로 포스트모더니즘 논의를 시작해 한국 문단과 학계에 큰 영향을 주었으며, 탈식민주의와 문화연구 논의에도 선구자적 역할을 했다. 《김성곤교수의 영화에세이》(1993)를 통해 "문화연구" 및 "문학과 영화" 분야 활성화에 기여했다.[3]
국제비교한국학회장, 한국 아메리카학회장, 한국현대영미소설학회장, 초대 문학과 영상학회장, 전국대학출판부협회 회장을 역임했다. 서울대학교에서는 미국학연구소장, 어학연구소장, 서울대출판부장을 거쳐 초대 언어교육원장과 초대 출판문화원장을 역임했다.
2012년 문화체육관광부 기관장 평가에서 우수기관장으로 선정되었고, 문체부 한류진흥자문위원회 위원장, 한중문화교류위원회 위원, 아시아문화포럼 위원장, 국가인재개발원 객원교수를 역임했다. 2016년 한국문학번역원장으로서 문화체육관광부 경영평가단이 선정하는 [문화융성 가치확산 분야--주요사업 부문 지표관리 우수기관] 축하패를 받았다. 2016-2017년 차관급 공공외교위원회 위원으로 활동했다.
5. 1. 언론 활동
김성곤은 ''문학과사상'', ''21세기 문학'', ''세계문학''의 편집위원이었다. 2003년부터 ''코리아 헤럴드''에 정기적으로 칼럼을 기고했다.
그의 ''헤럴드'' 칼럼은 ''The Nation'', 미국의 진보당, 중국 포스트, 아시아원, 파키스탄 옵저버, 스타, 야후! 뉴스, 아시안 뷰, 스트레이츠 타임스, 카트만두 포스트, 더 스테이츠맨, 월드 위클리 등과 같은 국제 언론에 자주 게재되었다. 2015년부터 2016년까지 유네스코 한국위원회에서 발행하는 ''코리아 저널''의 공동 편집인으로 임명되었다. 2017년 뉴욕 타임스로부터 사설/논설 페이지에 칼럼을 써달라는 요청을 받았다.
김성곤은 문학 계간지 《현대세계문학》(1988)의 편집인이었으며, 월간 문예지 《문학과 생각》(2002–2005)의 편집장이었다. 이청준, 김윤식, 윤후명, 김종회와 함께 《21세기 문학》(1998–2012)의 공동 편집인이었다.
1988년 문학 계간지 『외국문학』 책임 편집 위원, 2002년부터 2005년까지 월간 문학지 『문학사상』 주간을 역임했다. 이청준, 김윤식, 윤후명, 김종회 등과 함께 『21세기 문학』의 공동 편집 위원이었다 (1998년 ~ 2012년).
5. 2. 공공 기관 활동
기관명 | 직책 | 기간 |
---|---|---|
한국문학번역원 | 번역 아카데미 학장 | 2012년–2015년[1] |
서울대학교 | 출판문화원 원장 | 2009년–2011년 |
한국대학출판협회 | 회장 | 2010년–2011년 |
서울대학교 | 언어교육원 원장 | 2001년–2005년[2] |
서울대학교 | 언어연구소 소장 | 2001년 |
서울대학교 | 미국학연구소 소장 | 1999년–2001년 |
서울대학교 | 학생생활관 관장 | 1987년–1989년 |
BESETO (베이징, 서울, 도쿄) | 국제 학술대회 조직위원회 위원장 | 1999년–2001년 |
한국문학영화학회 | 초대 회장 | 1998년–2001년 |
국제비교한국학회 | 회장 | 2001년–2003년 |
한국영미문화학회 | 회장 | 2004년–2006년 |
한국아메리카학회 | 회장 | 2007년–2008년 |
한국영어영문학발전심의회 | 회장 | 2004년–2005년 |
외교안보연구원 | 교수 | 1988년–1994년 |
한국국제협력단(KOICA)과 외교부 산하 중앙공무원교육원(COTI) | 강사 | 1997년–현재 |
5. 3. 수상 경력
- 스페인 정부 훈장 La Orden del Merito Civil(2018)[3]

- 대한민국 옥조근정훈장(2014)
- 제6회 우호 인문학상(2014)
- 국가공무원인재개발원 베스트 강사(2014)
- 한국문학평론가 협회 선정 "한국 근현대 대표평론가 50인"(2014)
- 체코 정부 문화외교 메달(2013)
- 공공기관장 경영평가 우수기관장(평가점수 'A') 선정(2013)
- [2012 오늘의 문제평론] “문학과 게임” 선정(2012)
- SUNY 국제 우수 동문상(2012)[6]
- 교보문고 선정 [1990년대의 책] - [김성곤교수의 영화에세이]
- 제18회 김환태평론문학상 수상(2007)[3]
- 제12회 오늘의 책 수상(1986)
- 대한민국 학술원 우수학술도서 선정(2010, 하이브리드시대의 문학)
- 문화부 우수도서 3회 선정
- 조선일보 [인기 영화도서 1위] 선정([김성곤교수의 영화에세이])
- 해방 40년 외국문학분야 대표저작24선 선정([탈모더니즘시대])
- 1980년대 대표저작 선정([탈모더니즘시대의 문학], 1989)
- 출판저널 선정 [한국을 대표하는 번역가](1990)
- 서울대학교 우수연구교수 7회 선정
- 서울대학교 공로 표창장(2004)
- 서울대학교 총장 공로패 3회(2001, 2011, 2014)
- 서울대학교 언어교육원 감사패(2005)
- 서울대학교 발전기금 명예의 전당(2012)
- 국가공무원인재개발원 명예의 전당(2018)
-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명예의 전당(2022)
- 컬럼비아대 우수 동문상(2009)
- 풀브라이트 우수 동문상(2010)
- Asian Scholar-in-Residence Award, CIES and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1990-1991)
- Fulbright Scholarship Award(1978-1984)
참조
[1]
웹사이트
PRESIDENT'S MESSAGE - Korea Literature Translation Institute
http://eng.klti.or.k[...]
2017-04-05
[2]
웹사이트
서울대 영어영문학과
http://english.snu.a[...]
2017-04-05
[3]
웹사이트
Seong-Kon Kim, PhD '84 & MA '81
http://www.buffalo.e[...]
buffalo.edu
2012-03-20
[4]
URL
http://eng.klti.or.k[...]
[5]
URL
http://english.snu.a[...]
[6]
URL
http://www.buffalo.e[...]
[7]
웹인용
LTIKOREA 소개> 인사말
https://www.ltikorea[...]
한국문학번역원
2017-05-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